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65세 이상 어르신들 주목! 비과세종합저축 혜택 내년부터 사려져요

by anchorfree 2025. 8. 29.

 

 

 

 

정부가 지난 2025년 7월 31일에 발표한 세제 개편안에 따르면,  그동안 만 65세 이상 시니어분들이 받으셨던 두 가지 혜택이 내년부터 대폭 축소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는데요. 비과세종합저축과 상호금융(새마을금고, 지역농협, 신협 등)의 세금 혜택이 줄어드는데요. 오늘은 먼저 비과세종합저축의 혜택이 어떻게 줄어드는지 지금 어떤 조치를 취하면 될지 쉽고 이해하시기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비과세종합저축 가입대상자 축소

 

비과세종합저축이란 뭔가요? 

 

 

 

 

비과세종합저축은 제일 간단하게 말하면, 만 65세 이상 어르신들을 위한 "세금 면제 통장" 입니다. 2025년까지는 만 65세 이상 모든 분들이 혜택을 받으실 수 있는데요.  비과세종합저축 계좌에서 발생한 이자 또는 배당금에 대해서 세금이 0원이 부과되는 비과세 통장입니다. 더욱이 금융소득종합과세에서도 제외되는데요. 

 

비과세종합저축의 기존 혜택에 대해서 간단히 정리하고 예를 들어 설명해 볼게요.  

비과세종합저축 비과세혜택 실제 예시
비과세종합저축 기존 혜택
비과세종합저축 비과세혜택 실제 예시
비과세종합저축 비과세혜택 실제 예시

 

비과세종합저축 2026년부터 뭐가 바뀌나요? 

 

 

 

 

기존에는 만 65세 이상 어르신들이라면, 비과세종합저축에 모두 가입하실 수 있었으나, 2026년부터는 기초연금을 수령하시는 분들만,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즉, 만 65세가 되어도 소득이 어느 정도 있어서 기초연금에 해당되지 않는 분들은 비과세종합저축의 비과세 혜택을 받으실 수 없습니다. 현재 약 300만 명의 65세 이상 어르신들이 기초연금을 받지 못하고 있는데, 이분들이 모두 비과세종합저축 혜택도 동시에 잃게 됩니다.

비과세종합저축 2026년 바뀌는 내용
비과세종합저축 2026년 바뀌는 내용

 

예를 들어, 박할머니의 사례를 보면, 월소득이 250원이 있어 기초연금을 받지 못하십니다. 이 분께서 2025년 안에 비과세종합저축에 가입하신다면, 31만 원 상당의 비과세 혜택을 받으실 수 있지만, 2026년부터는 기초연금 미수령자로 가입조차 하실 수 없습니다. 

비과세종합저축 2026년 변경사항으로 인한 피해 실제 예시
비과세종합저축 2026년 변경사항으로 인한 피해 실제 예시

 

기초연금 미수령 어르신이라면 지금 당장 하셔야 할 일! 

 

 

 

 

기초연금 미수령 어르신이라면, 2025년 올해안에 비과세종합저축에 가입하셔야 합니다. 올해안에 가입한 비과세종합저축은 법이 바뀌더라도 비과세 혜택이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2026년이 되면, 기초연금 수령자가 아니라면, 가입조차 하실 수 없습니다.  미루지 마시고, 올해 안에 꼭 꼭 비과세종합저축에 가입해 두시기 바랍니다.  

 

비과세종합저축은 은행, 보험사, 증권사 어디서나 가입이 가능한데요. 은행이나 보험사의 비과세종합저축은 앞으로 만기가 도래하면, 재가입이 불가능해지지만, 증권사의 비과세종합저축 계좌는 통상적으로 ‘99년’ 등 장기 만기로 설정되고 가입 후 별도의 갱신 없이 평생 운용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은행이나 보험사처럼 원금 보장은 되지 않는 점 참고하셔서 올해 안에 꼭 가입하세요. 

 

상호금융(새마을금고, 지역농협, 신협 등)에 대한 변화는 아래 글을 읽어보세요. 👉👉👉👉👉👉👉👉

 

2025.08.30 - [분류 전체보기] - 만 65세 어르신들 주목! 상호금융 혜택 2026년에 줄어들어요

 

만 65세 어르신들 주목! 상호금융 혜택 2026년에 줄어들어요

최근 정부에서 발표한 2025년 세제개편안으로 인해 상호금융 비과세 혜택이 변화하게 되었는데, 이 내용을 차근차근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여기에서 상호금융은 흔히 농협, 새마을금고, 신협, 수

anchorfree100.com

 

 

 

만 65세이상 비과세종합저축 혜택 축소
만 65세이상 비과세 종합저축 2026부터는 기초연금 수령자만 가입 가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