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수도권 출퇴근 시민이 더욱 편리하게 광역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2025년 8월 11일부터 좌석예약제를 확대시행한다고 발표했습니다. 65개 노선에서 68개 노선으로 확대하고, 하루 운행 횟수도 150회에서 170회로 늘린다는 희소식입니다. "Miri"라는 앱을 사용하면, 간단히 좌석을 예약 및 취소하실 수 있는데요. 그럼 오늘은 "MiRi" 앱 사용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Miri(미리) 앱을 사용하여 광역버스 좌석 예약하는 방법
1. 앱다운로드 : 가장 먼저 스토어에서 앱을 다운로드 받으세요.
2. 회원가입 : 앱을 실행하시면, 먼저 회원가입을 가장 먼저 하셔야 하는데요. 회원가입은 네이버나 카카오톡 같은 SNS계정으로도 회원가입을 간단히 하실 수 있습니다.
3. 카드등록 : 왼쪽 최상단을 보시면 = 표시가 보이는데요. 이게 메뉴바입니다. 눌러서 [교통카드 등록]을 진행해 주세요. 교통카드는 후불형, 선불형, 모바일 교통카드 모두 등록이 가능하고, 세 번째 이미지의 빨간색 박스와 같이 카드스캔을 통해 등록하시면, 번호를 따로 입력하지 않으셔도 빠르게 카드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 Tip : 혹시 앱을 사용하시다가 궁금하신 부분이 있다면, 첫 번째 이미지의 오른쪽 하단의 채팅창을 누르시면, 챗봇 연결이 되니, 궁금한 부분을 상담받으실 수 있습니다.
4. 예치금 충전 : 위의 두 번째 이미지에서 보실 수 있는 예치금 충전을 진행해 주세요.
※ 예치금은 미리서비스에서 버스를 예약할 경우 충전하신 예치금으로 예약을 진행하고 탑승 이후에는 반환되는 보증금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치금이 미리 충전되지 않으면, 예약은 진행되지 않습니다. 버스에 탑승하여 등록한 버스 카드로 태깅하여 탑승하면, 예치금이 반환되는 구조입니다. 예약 후 탑승하지 않는 경우에는 예치금에서 100% 차감되고요. 만약, 더 이상 광역버스 이용을 하지 않아, 남아 있는 예치금을 전액환불받으려면, "예치금 관리/조회/환불"이라는 메뉴에서 전액 환불 진행하시면 됩니다.
5. 노선검색 : 메인창의 "노선검색하기" 돋보기를 클릭하시면 광역버스 리스트가 화면에 뜨는데요. 원하시는 노선을 선택하신 후, 승하차 구간을 선택합니다. 하단의 "예약하기" 버튼을 누르시면, 날짜별 잔여좌석이 보이고, 원하시는 날짜를 클릭하시면, 좌석위치가 보입니다. 원하시는 좌석을 클릭하셔서 최종 예약하시면 됩니다. 위에서 설명드린 대로 예치금이 없으면, 예약이 진행되지 않습니다. 예약하시기 전에 예치금을 미리 충전하셔야 합니다.
예약한 광역버스 취소하는 방법
스케줄이 변경되어 미리 예약한 광역버스를 앱을 통해서 간단히 취소하실 수 있습니다. 하단 이미지의 오른쪽 상단의 티켓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하시면, 예약하신 내역들이 리스트업 되는데요. 그중에서 취소하고 싶은 내역을 선택하신 후 취소 진행하시면 됩니다.
취소 위약금
▶ 취소 시 위약금은 탑승 1일 전부터 발생하게 됩니다. 탑승 1일 전 20% 위약금을 시작으로 단계별로 차등 위약금이 발생됩니다. 위약금은 예치금에서 차감되니 혼선 없으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미리(Miri) 앱을 사용하여, 광역버스 좌석을 예약하고 취소하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미리 예약하셔서 지옥철 탈출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