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728조원 규모의 확장 예산을 통해 2026년에 무료예방접종 지원을 대폭 확대하는 것으로 발표했습니다. RSV백신, 대상포진백신 지원 확대 및 새로운 연령층 포함이 예상됩니다. 2025년에 비해 8.1% 증가한 예산 규모를 바탕으로 무료예방접종 정책도 상당한 변화가 예상되는데요. 어떤 내용이 업데이트 될지 정리해보았습니다.
2025년 VS 2026년 주요 변경사항
1. RSV(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백신 신규 도입 예정
영유아 대상 RSV 백신이 국가예방접종에 포함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RSV는 2세 미만 영유아에게 심각한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어, 무료접종 지원(1회 접종당 30만원 상당)이 꼭 필요하며, 2026년 중반에 시행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대상포진백신 지원 확대
1회 접종당 20만원 상당에 해당하는 대상포진 접종을 일부지역에서 전국으로 확대하여 시행될 예정이며, 대상연령을 65세에서 60세로 낮출 예정입니다.
3. HPV 백산 지원 대상 추가 확대
기존 여성 청소년 외에 남성 청소년에 대한 HPV 백신 지원으로 확대되었습니다. 기존 12~17세 여아에게만 해당되었던 지원 대상이 12세 남아까지 확대되었습니다.
2026년 예상 무료예방접종 지원 대상
1. 어린이 대상 백신 (2025년 대비 변화)
2. 성인 및 고령층 대상 백신확대
- 대상포진백신: 60세 이상으로 연령 하향 (기존 65세 이상)
- 폐렴구균백신: 65세 이상 지속 지원
- 인플루엔자: 임신부, 만성질환자 등 고위험군 확대
- 코로나19 백신: 고령층 정기접종화 검토
2026년 접종 시행 일정 및 접종 가능 장소
1. 시행 일정 (예상)
- 1월: 기존 백신 지속 지원
- 3월: 대상포진백신 연령 확대 시행
- 7월: RSV 백신 도입 (RSV 유행기 대비)
- 10월: 독감백신 접종 시작
2. 접종 가능 장소
- 전국 보건소 (모든 무료백신 접종 가능)
- 지정 위탁의료기관 (백신별 상이)
- 의료진이 있는 요양기관 (고령층 대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