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재산세 기준 및 계산법 완벽 정리!

by anchorfree 2025. 7. 14.

 

 

2025년에도 부동산 보유자라면 반드시 챙겨봐야 할 것이 바로 재산세입니다.  재산세는 매년 7월과 9월 2회에 걸쳐 납부하게 되는데요. 이제 1회 차 납부 기간이 다가왔는데, 과연 얼마가 부과될지 벌써 걱정이 됩니다. 특히 올해 재산세 부과금액이 11%나 급증했다고 하는데, 어떤 내용들이 바뀌었는지 빨리 알아보는 게 좋겠습니다.

📌 2025년 재산세 기준 : 11% 급증

 

 

 

재산세가 부과되는 시기적 기준 매년 6월 1일 기준 부동산 소유자에게 부과되며, 주택, 건물, 토지 등 모든 부동산 자산에 대해 과세됩니다. 특히 공시가격이 부과 기준의 핵심으로, 정부가 매년 발표하는 해당 부동산의 가격에 따라 세액이 결정되는데요.

올해 재산세 부과가 11%나 급증하게 된 이유는 바로 이 공시가격의 인상이 주원인입니다. 공동주택의 경우, 작년에 비해 7.86%, 개별주택의 경우, 2.91%가 상승하면서 세금을 매기는 기준이 되는 과세표준도 상승했기 때문입니다. 

 

1세대 1 주택자의 경우, 2025년에도 공시가격 9억 원 이하 주택에는 세율 특례가 적용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세금이 부과됩니다. 반면, 다주택자의 경우는 주택 수와 공시가격에 따라 누진세율이 적용됩니다.

 

 

🧮 재산세 계산법 (2025년 기준)

재산세는 크게 기본세율 × 과세표준 방식으로 계산됩니다.

  • 과세표준 = (공시가격 × 공정시장가액비율) – 공제액
  • 세금 : 과세표준 x 세율
  • 세율: 0.1% ~ 0.4% (1세대 1 주택자 기준)
  • 과세표준 6천만 원 이하 : 0.1%
  • 과세표준 6천만원 초과 ~ 1억 5천만 원 이하 : 0.15%
  • 과세표준 1억 5천만원 초과 ~ 3억 원 이하 : 0.25%
  • 과세표준 3억원 초과 : 0.4%

예를 들어, 공시가격이 6억 원인 1세대 1 주택자의 경우, 공정시장가액비율이 60%라면 과세표준은 3억 6천만 원이며, 이에 따라 세율이 적용되어 재산세가 부과됩니다.

재산세 계산기로 바로 연결됩니다.

🔄 2025년 재산세 납부기한 

 

 

 

재산세 부과는 1년에 1번 이루어지지만, 납부자의 부담을 나눠주기 위해 두 번에 걸쳐서 나누어 내게 됩니다. 2025년도 납부기간은 아래와 같은데요. 기한 내 재산세를 내지 못한다면, 그에 대한 불이익이 따르니, 꼭 기한 내에 납부하는 게 좋겠습니다. 

 

■ 1차 납부기간 : 2025.7.16 ~ 7.31 : 주택 1 기분(50%), 건축물/선박/항공기분 납부

■ 2차 납부기간 : 2025.9.16 ~ 9.30 : 주택 2기분(50%), 토지분 납부

만약 주택 세금이 20만원 이하인 경우는 7월에 한꺼번에 납부하게 됩니다. 

 

기한 내에 재산세를 납부하지 못하면, 이런 불이익이 따르니 기한 내에 꼭 처리되도록 해야 합니다. 

 

  연체시 즉시 3% 가산금 부과

가중 연체금 부과 : 납부 기한이 지난 뒤에도 납부하지 않으면, 매월 0.75%식 최대 60개월까지 가중 부과됩니다. 

재산 압류 및 공매 조치 : 장기간 체납할 경우, 압류 또는 공매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재산세 자동이체로 납부 시, 할인도 받을 수 있다고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2025.07.14 - [분류 전체 보기] - 재산세 무조건 카드 납부가 이익! - 카드사별 혜택비교

 

재산세 무조건 카드 납부가 이익! - 카드사별 혜택비교

7월은 재산세 납부의 달! 재산세는 무조건 카드로 납부하는 게 이득입니다. 그 이유는요. 먼저 세금은 국세와 지방세로 나뉘는데요. 국세의 경우, 신용카드 사용시사용 시 0.8%, 체크카드 사용 시

anchorfree100.com

 

 

 

 

 

반응형